투자 잘하고 싶은데 재무제표만 보면 머리가 아프다구요? EPS랑 ROE만 알면, 기업 분석이 한층 쉬워집니다!
안녕하세요, 재테크 입문자에서 이제는 투자 좀 한다는 소리 듣는 저예요.
솔직히 말해서 예전엔 ‘EPS’가 음식 이름인 줄 알았고, ‘ROE’는 무슨 요리법인 줄 알았어요.
그런데 지금은 친구들이 저한테 기업 분석 어떻게 하는지 물어보곤 해요.
오늘은 여러분께 제가 깨달은 핵심, 바로 EPS와 ROE에 대해 아주 쉽게, 재밌게 알려드릴게요.
제 투자 인생을 바꿔준 두 지표, 같이 파헤쳐 볼까요?
목차
EPS란? 주당순이익의 개념 이해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주당순이익’이라 해요.
말 그대로 한 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죠.
계산법은 간단해요.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누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1억 원을 벌고, 발행한 주식 수가 100만 주라면 EPS는 100원이 되는 거죠.
이 숫자는 투자자 입장에서 꽤 중요한 의미를 가져요.
왜냐하면 내 주식 한 주가 실제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벌어들이고 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죠.
EPS가 높다는 건 그만큼 효율적으로 돈을 벌고 있다는 뜻이에요.
EPS로 기업 수익성 분석하는 법
EPS를 통해 기업의 ‘돈 잘 버는 능력’을 확인할 수 있어요.
아래 표는 EPS 수치별로 기업 수익성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정리한 거예요.
EPS 수준 | 의미 | 투자 판단 |
---|---|---|
500원 이상 | 고수익 기업 | 장기 투자 유망 |
100~500원 | 보통 수준 | 성장성 비교 필요 |
100원 미만 | 수익성 낮음 | 주의 필요 |
EPS와 ROI의 차이점 정리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게 바로 EPS와 ROI의 차이에요.
둘 다 수익성을 나타내긴 하지만, 보는 관점이 달라요. 정리해 드릴게요.
- EPS는 ‘주주’ 입장에서 한 주가 벌어들인 순이익을 본다
- ROI는 ‘사업자’ 입장에서 자본을 얼마나 잘 불렸는지를 본다
- EPS는 ‘회사의 이익’, ROI는 ‘투자 대비 성과’를 본다
ROE란? 자기자본이익률의 의미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이라는 말 그대로, 회사가 자기 돈(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쉽게 말해, 주주가 회사에 넣은 돈을 회사가 얼마나 잘 굴려서 이익을 남겼는지를 보는 거죠. 계산식은 순이익 ÷ 자기자본 × 100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 10억 원이 있는 기업이 2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면 ROE는 20%가 됩니다.
이 말은, 주주가 맡긴 돈으로 1년에 20% 수익을 냈다는 뜻이죠. 꽤 잘한 거예요!
ROE 비교 분석: 어떤 기업이 더 우수할까?
ROE는 단순히 높다고 좋은 게 아니에요. 업종 평균과 비교해야 진짜 실력이 보이죠.
아래 표는 업종별 평균 ROE와 함께 실제 기업 사례를 비교한 예시예요.
업종 | 평균 ROE | 기업 A ROE |
---|---|---|
IT | 14% | 22% |
유통 | 9% | 7% |
제약 | 11% | 15% |
EPS와 ROE를 활용한 실전 투자 전략
EPS와 ROE는 각각 다르게 보이지만, 같이 보면 시너지가 어마어마해요.
저는 이 두 지표를 함께 보며 투자 결정을 해요. 아래 전략을 참고해 보세요.
- EPS는 꾸준히 상승 추세인지 확인한다
- ROE는 업종 평균보다 높은지를 본다
- 둘 다 높다면, ‘성장+수익’의 황금 기업일 가능성!
- 과거 5년치 데이터로 ‘일관성’도 체크한다
EPS와 PER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EPS는 주당 이익이고, PER은 주가 대비 이익의 비율이에요.
EPS가 ‘벌어들인 돈’이라면, PER은 ‘그 돈에 대해 시장이 평가하는 가치’라고 보시면 돼요.
EPS가 마이너스일 수도 있나요?
네! 회사가 순손실을 보면 EPS는 마이너스가 됩니다.
이 경우엔 경고등이 켜진 거라고 생각하셔야 해요.
ROE는 얼마 이상이면 좋은 건가요?
일반적으로 10% 이상이면 우량 기업으로 봐요. 하지만 업종 평균과 비교해서 판단하는 게 더 정확해요.
EPS나 ROE가 좋아도 주가가 떨어질 수 있나요?
그럼요. 좋은 재무 지표가 있어도 시장 심리나 외부 변수, 업황 영향으로 주가가 하락할 수 있어요.
항상 종합적으로 봐야 해요.
EPS랑 ROE 중에 더 중요한 건 뭔가요?
둘 다 중요해요. EPS는 ‘수익성’, ROE는 ‘효율성’이에요.
같이 보면 그 기업의 건강한 성장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어요.
EPS, ROE 외에 함께 보면 좋은 지표는?
PER, PBR, 부채비율, 영업이익률 등이 있어요.
재무제표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면 더 좋은 투자 결정을 할 수 있어요.
여기까지 따라오신 분들, 정말 대단하세요!
이제 EPS와 ROE, 이름만 들어도 헷갈리던 그 녀석들이 좀 친근하게 느껴지시죠?
사실 투자는 어렵고 복잡하기보다, 꾸준히 배우고 적용해보는 재미가 쏠쏠한 영역이에요.
다음번엔 이 두 지표를 실제 기업 분석에 써보며 더 똑똑한 투자자로 거듭나보는 건 어떨까요?
궁금한 점이나 경험, 댓글로 꼭 나눠주세요! 우리 같이 성장해요.
eps, roe, 기업분석, 수익성지표, 재무제표, 투자기초, 주식공부, 재테크, 초보투자자, 재무비율